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육아꿀팁21

출생신고 하는 방법 (온라인 출생신고, 동사무소 출생신고 준비물, 과태료, 혜택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맞이한 부모님들에게 필수적인 출생신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남편의 시선으로 출생신 고의 중요성과 절차를 자세히 다룹니다. 지금부터" 출생신고 하는 방법 (온라인 출생신고, 동사무소 출생신고 준비물, 과태료, 혜택 등)"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출생신고란? 출생 신고는 아이가 태어남을 법적으로 인정받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다양한 권리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출생 신고는 결혼한 부부 또는 혼인 외 관계에서 태어난 아이 모두에게 필요합니다. 해외 거주 한국인의 경우 재외공관이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 사무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생신고 기간 및 과태료 아기가 태어난 후 1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기간이 지나면 과.. 2024. 1. 7.
혼인신고 안하고 출생신고 하는 방법(혼인신고 전 출생신고 괜찮나?, 신생아 특공, 신생아 대출 박탈 안당하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아이의 출생신고를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최근에 부모가 되신 분들이나 곧 부모가 될 분들 중에서는 대부분 아이가 출생을 하게되면 반강제로 혼인신고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혼인신고 전 주택정리가 안되었거나 여러가지 사유로 혼인신고 할수 없는 상황에 계신분들이 계십니다. 이럴때 혼인신고 안하고 출생신고 했을때 문제가 있을지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러한 분들을 위해서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혼인신고 전 출생신고란?(혼인신고 안하고 출생신고) 혼인신고 전 출생신고는 아이가 태어난 후 부모가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의 출생을 정부에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이 경우, 특별한 서류 준비와 절차가 필요하며, 이에 대해 자세히 알.. 2024. 1. 7.
백일잔치 아기 100일잔치 누구까지 초대해야 되나?(백일잔치 초대, 예절, 유래, 인사말, 순서, 식당추천, 선물) 백일잔치는 아기가 태어난 후 100일째 되는 날에 치르는 행사입니다. 이 행사의 의미는 아기가 무사히 100일을 살아온 것을 축하하고, 앞으로도 건강하게 자라기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 있는 행사에서도 누구를 초대해야 할지, 그게 고민입니다. 지금부터 " 백일잔치 아기 100일잔치 누구까지 초대해야 되나?(백일잔치 초대, 예절, 유래, 인사말, 순서, 식당추천, 선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백일잔치의 유래 백일잔치는 한국 전통문화의 일환으로, 아기가 태어난 지 100일이 되는 날에 치르는 행사입니다. 고려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이 행사는 아기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져 왔습니다. 백일잔치에 누구를 초대해야 할까? 커뮤니티에도 많이 올라오는 이 주제, 아기의 백일잔치에 누.. 2023. 9. 4.
신생아 특공의 모든것-신생아 특공 신설! 대체 뭐길래?(신생아 디딤돌 대출) 출산이 줄어들면서 정부가 새로운 주거지원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신생아를 가진 가정을 위한 다양한 혜택과 특공(특별공급)이 마련되어 '내 집 마련'이 한결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국토부가 발표한 이런 새로운 정책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신생아 특공이 뭔가요? 공공주택 특공과 민간 주택 특공(신생아 우선 공급) 공공분양 '뉴:홈'에서 신생아 특별공급이 마련됩니다. 임신과 출산을 증명할 수 있으면 특공 자격이 부여됩니다. 민간분양에도 비슷한 '신생아 우선공급' 정책이 도입됩니다. 소득과 자산 기준은? 소득과 자산 요건도 충족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분양의 경우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50%와 자산 3억7900만원 이하 등의 조건이 있고, 연간 3만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민간분양에는 도시근로자 월평균소.. 2023. 9. 1.